2020년

윤 총장 발언을 계기로 생겨난 문제의식

‘검사’ 하면 연상되는 개념은? 나는 ‘국가’가 떠올라. 솔직히 검사라는 존재에 대해 그리 깊이 고민해 본 적은 없어. 그런데 윤석열 검사가 국정원 댓글 수사로 핍박 받던 때로부터 박근혜 탄핵과 국정농단 수사, 문재인 정부 들어 계속 이어지는 극적인 상황들 때문에 생각을 평소보다는 많이 하게 되지. 더불어민주당-문재인 정권에게 물어본다. ‘검사’ 하면 뭐가 떠올라? 혹시 겁박하는 수사기관? 권력의 시녀? […]

윤 총장 발언을 계기로 생겨난 문제의식 게시물 읽기"

코로나 앓고 나서 6개월 후에도 항체가 재감염을 막아준다는 연구: 독일 언론 보도(Franfurter Rundschau)

한 연구에 따르면, 코로나 환자들은 많은 경우에 지속적으로 상당히 많은 항체를 보유하여, 바이러스 재감염이 막아지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아직 공식 발표되지 않은 연구가 세계 최초로 감염자가 나온 중국 우한의 Covid-19 환자 327명에 대해서 이런 결과에 도달했다고 함. 환자의 80퍼센트 이상의 경우, 병을 앓고 난 6개월 후에도 바이러스를 무해하게 할 능력이 있는, 여전히 생물학적으로 살아 있는

코로나 앓고 나서 6개월 후에도 항체가 재감염을 막아준다는 연구: 독일 언론 보도(Franfurter Rundschau) 게시물 읽기"

그린벨트를 보존하지 않으면 나쁜 정부

집값을 내리기 위해 공급을 늘린다? 공급을 늘리면 가격이 내려간다? 한국 부동산이 그렇지 않다는 건 이명박 정부 이후 뉴타운으로 우후죽순으로 아파트 지어놓고 미분양되고, 원주민 쫓겨나고 그래도 집값 오르고, 빚내서 집 사라고 해서 가계빚이 GDP 대비 97~98%나 되고 하면서 틀린 정책임이 증명된 거 아닌가? 그런데 틀린 정책을 그린벨트 풀어서 하겠다는 발상을 어느 머리가 했는지 참~~ 한심하다. 서울

그린벨트를 보존하지 않으면 나쁜 정부 게시물 읽기"

박원순 시장의 죽음을 막을 수 없었나?

한 가지 의혹을 던지게 된다. 박원순 시장의 죽음은 정말 막을 수 없는 충격적 선택이었을까? 나는 막았어야 하고, 막을 수도 있었던 것 아닌가 하고 질문을 던진다. 분명 경찰에 고소가 접수되어 청와대에 보고까지 되었다는 점은 청와대도 인정한 바 있다. 박 시장은 수도 서울의 시장이자 많은 시민들의 일상과 사회 여론에 큰 영향력을 갖는 정치인이다. 또 코로나 위기 상황에서

박원순 시장의 죽음을 막을 수 없었나? 게시물 읽기"

박원순 시장이 떠난 후

혼탁한 세상에 자욱히 퍼진 안개 속에서 박원순 시장은 비극적으로 떠났다. 무슨 말을 해야 하리. 남은 가족과 후손들, 오랜 세월 헤쳐온 동료들, 거리와 현장에서 희로애락을 나누었던 이웃들, 그리고 그에게 상처받은 이들을 위해서도, 편안히 또 다른 세상에서 안식을 얻기를 바랄 뿐이다. 그와 인연을 맺었던 모든 사람들이 그의 죽음에 착잡하고 슬퍼하리라. 정말 이런 죽음이 반복되지 않는 세상을 만들려면

박원순 시장이 떠난 후 게시물 읽기"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