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32시간 노동은 노동 양극화 더 심화: 주 44시간으로 단결 필요

정의당 심상정 후보가 민주노총 양경수 위원장을 만나서 주 32시간 노동을 이야기하고 노동 양극화를 방지하기 위해 민주노총이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는데, 솔직히 진보 또는 좌파라 하더라도 실현 가능한 정책을 제시해야 사람들이 지지한다. 그렇게 안 하면 득표율 5%도 안 나온다. 주 52시간도 버겁다면서 유예해달라는 기업가들의 공세가 있고, 실제로 중소기업 사장들도 어렵다는 요청이 아직도 있는 게 현실인데, 주 32시간을 적용하자면 […]

주 32시간 노동은 노동 양극화 더 심화: 주 44시간으로 단결 필요 게시물 읽기"

시민들의 극단적 자제로 확진자 줄이고, 나중에 책임을 추궁해야 한다

지금 준비도 없이, 그것도 겨울이 닥쳐오는 때에, 게다가 작년 이맘 때 1천4백 명 확진자에 40여 명 사망자 나왔을 때 그렇게 초긴장을 했는데, 재택치료를 전면화하고, 70세 이상과 이른바 고위험군까지도 병상이 없어서 제때 치료를 못 받고, 심지어 사망자가 나와야 중증 병상으로 옮길 지경이라는 상황이 되었다. 병원 상황은 언론에 보도되는 것 이상이라고 한다. 백신 패스로 압박해서 오히려 학부모와

시민들의 극단적 자제로 확진자 줄이고, 나중에 책임을 추궁해야 한다 게시물 읽기"

이재명의 박정희 경제성장론, 전두환 3저 호황 경제 호평, 이승만 농지개혁 칭찬: 뭐래는 거니?

이재명이 대구 경북 시민들 앞에서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의 공과 과를 시리즈로 나열했다. 요즘 이재명이 기본적으로 민주주의자인지 의심이 들 때가 있다. 민주주의가 뭐냐? 적어도 기득권 집단의 독점 과두체제(민주주의라는 허울을 쓴 카르텔 이익에 봉사하는 체제)보다 중산층 이하 대중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이익을 우위에 둔 정치 체제를 부단히 발전시키는 과정이다. 이승만 정권 당시 조봉암 농림부장관(일제강점기 사회주의운동 투사) 농지개혁이야

이재명의 박정희 경제성장론, 전두환 3저 호황 경제 호평, 이승만 농지개혁 칭찬: 뭐래는 거니? 게시물 읽기"

독일 바이러스 학자 헨드릭 슈트렉의 벨트(Welt) 지 인터뷰

헨드릭 슈트렉(Hendrik Streeck)은 본(Bonn) 대학 바이러스 연구소장이며 독일에서 가장 인정받는 바이러스 감염병 전문가. 메르켈 정부에 조언을 많이 한 것으로 보이는 크리스티안 드로스텐 교수, 올라프 숄츠 정부에서 보건장관으로 임명된 사민당 정치인이자 보건 전문가 칼 라우터바흐, 할레 대학의 알렉산더 케쿨레 같은 사람들의 견해가 현재 독일의 코로나 상황에서 관심을 많이 받고 있다. 슈트렉 교수는 코로나 19 사태가 시작되면서

독일 바이러스 학자 헨드릭 슈트렉의 벨트(Welt) 지 인터뷰 게시물 읽기"

윤석열의 리더십은 흔들의자 리더십, 아니면 구름다리 리더십

윤석열이 검찰총장 하던 시기에 검사들 모아놓고 했던 말이 생각난다. “민주주의라는 허울을 쓴 독재와 전체주의를 배격하는 진짜 민주주의”라고 했던가? 나는 당시에 나름대로 윤석열이 민주주의에 대해 깊은 이해를 갖고 있는 줄 알았지. 그런데 요즘 일어나는 일을 보면 좀 관념적이고 공허한 말이었다고 결론을 내린다. 노재승인가 하는 청년(?)을 공동선대위원장으로 임명했는데, 그가 했다는 여러 발언들이나 멘트들이 참 유아적이고 충동적인 분노로

윤석열의 리더십은 흔들의자 리더십, 아니면 구름다리 리더십 게시물 읽기"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