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

신규 확진자 수, 재생산지수 (독일의 사례, 2020년 6월 5일 06시 15분 현재, 프랑크푸르터 룬트 샤우 보도)

보건당국의 최신 정보에 근거하여 로베르트 코흐 인스티투트(RKI: Robert Koch-Institut)는 어제 기준으로 507건의 신규 감염 사례를 통보했다. 그 결과 코로나 대확산이 시작된 이후 183,271명이 독일에서 Sars-CoV-2에 감염되었다. 독일에서 감염으로 인해 현재까지 8613명이 죽었다. 이는 24시간 이내 32명이 늘어난 숫자다. 약 168,500명이 감염에서 회복되었다고 RKI는 추산했다. 재생산지수(Reproduktionszahl), 즉 R값은 RKI의 언급에 따르면 위험 지표인 1.0 미만에 뚜렷이 […]

신규 확진자 수, 재생산지수 (독일의 사례, 2020년 6월 5일 06시 15분 현재, 프랑크푸르터 룬트 샤우 보도) 게시물 읽기"

세계적 공동 대응 없이 코로나 막을 수 있을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이거 어느 한 나라가 아무리 잘 해도 어지간해서는 막기 힘든 것 아냐? 전 세계 확산 곡선이 계속 올라만 가네. 존스홉킨스대 COVID-19 Dashboard 유럽-러시아-동북아시아-동남아시아-중동-미주-남아메리카-아프리카-오세아니아 이렇게 블록화한 공동 대응과 전 세계적 협력이 아니면 3년 정도 갈 것 같다는 느낌이 막 와. 나의 비과학적 견해에 따르면, 증오와 비난이 멈추지 않으면 코로나도 멈추지 않을 것 같아.

세계적 공동 대응 없이 코로나 막을 수 있을지 게시물 읽기"

2차 확산에 대비하려면 임시병상을 준비하도록 하라

청와대는 환자가 의사를 찾아가 자기 증상을 말하는 게 얼마나 중요한지 모르지? 모르니까 비대면 진료니 뭐니 하지. 이번에는 병원 내 감염이 걱정되는 만성 질환자들이 약이라도 처방받아야 하니까 전화로 급하게 일시적으로 가능하게 한 거지, 그걸 가지고 효과를 따진다는 게 말이 되느냐? 뭘 생각하고 사나? 비대면 진료는 원격의료가 아니라면서 통신과 IT 기술을 이용한 게 원격의료이고 비대면 진료는 그게

2차 확산에 대비하려면 임시병상을 준비하도록 하라 게시물 읽기"

코로나 위기에서 복귀 기준: 점진적으로만 가능 (독일 전문가들 견해)

독일의 14명 전문가들로 구성된 위원회는 독일에서 정상 복귀에 관한 판단 기준을 토론하여 권고했다. 위원들 중 한 사람인 윤리학자 크리스티아네 보펜(Christiane Woopen)이 독일 ARD 방송 인터뷰에서 밝혔다. 다만 그녀는 점진적으로만 정상으로 복귀가 가능하다면서, 아래 기준에 따라 여러 분야와 집단, 때로는 지역에 따라 다르게 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 네 가지 판단 기준: 어느 분야에서 감염 위험 높고

코로나 위기에서 복귀 기준: 점진적으로만 가능 (독일 전문가들 견해) 게시물 읽기"

체육관 시설을 임시 병원으로 적극 활용해야 하지 않을까?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로 7천 명이 넘는 사람들이 확진되고 48명이 숨을 거둔 시점, 검사는 17만을 넘어가는 때인데 특히 사망자들은 확진 판정을 받고 며칠 안 되어, 심지어 자가 격리 중에 죽거나 사후에 양성 판정이 나오고 있다. 솔직히 노약자, 어린이, 임산부, 지병이 있는 사람들은 걱정과 불안이 없다고 하면 거짓말일 것이다. 중국의 대형 임시병원 사례를 적극 참고해서 발 빠른

체육관 시설을 임시 병원으로 적극 활용해야 하지 않을까? 게시물 읽기"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