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

백신에 의존하다가 더 퍼지지 않을까 몰라

사람들이 백신을 맞는다. 어쩐 일인지 양성자가 줄어드는 것 같았고, 사람들이 한동안 안전감을 느낀다. 인간이 기계나 로보트나 종교 수행자가 아닌 한, 조금이라도 자유로운 방향으로 행동한다. 백신을 맞아도 콧구멍을 지나 목구멍으로 이어지는 부위에서 PCR 양성 반응은 계속 나온다. 접종률 높은 나라에서 다시 확진자가 늘어난다. 전파 속도 빠른 변이가 방역과 의료 시스템을 뛰어넘는다. 면역력이 약하거나 백신 효과를 못 […]

백신에 의존하다가 더 퍼지지 않을까 몰라 게시물 읽기"

백신 예약 시스템의 한심함은 불투명함의 본보기

작년 코로나 19가 번지기 시작하고 대구에서 폭증한 다음 가라앉자 이 나라 행정수반 대통령을 비롯하여 보건당국, 그리고 여당 놈들은 민주적이고 개방적이고 투명한 K방역으로 코로나를 극복하겠노라 장담했었나? 그런데 백신 접종 예약 사이트만 봐도 그런 공언이 무슨 의미였는지 도대체 알 수는 없는 것이지. 본인들도 그런 발언이 무슨 뜻인지도 모르고 했나 봐. 무능해서인지 일부러 그러는지는 몰라도 왜 꼭 인터넷

백신 예약 시스템의 한심함은 불투명함의 본보기 게시물 읽기"

노동시간 축소 정착 때까지 사업장 규모가 아닌 직종별 최소-최대 구간 설정하는 것이 좋지 않겠나

윤석열의 주 120시간 표현(52시간이 아니라 120시간이라도 일하고 쉴 때는 쉰다?)으로 아니나 다를까 비판이 쇄도한다. 윤석열 캠프 측은 단순한 표현만 따서 공격하는 반응들에 유감을 표명했다. 정치적 대립이 첨예한 상황에서 앞뒤 안 따지고 딱 고것만 잘라서 공세한다는 것을 윤석열 측도 유념해야 할 것이며, 또한 맥락을 보더라도 주 120시간은 해도 해도 너무하지 않나 라는 반문이 제기된다. IT 노동자들이

노동시간 축소 정착 때까지 사업장 규모가 아닌 직종별 최소-최대 구간 설정하는 것이 좋지 않겠나 게시물 읽기"

지금 이 와중에 무슨 전 국민 재난지원금이야?

전 국민 재난지원금 논란도 많고, 억지 소비 진작 장기 효과도 없고, 코로나 와중에도 이익 본 사람들까지 있는데 한두 번 했으면 됐지 왜 남발하고 있냐? 그 재정으로 방역 강화와 치료 비용, 당장 피해 입는 중소 상인들, 코로나로 더 힘들어진 빈곤층과 저소득층을 지원해야지. 그리고 일자리 지원과 보호를 해라. 민심 수습용 재난지원금에 재정 뿌리겠다고? 확장 재정을 효과적으로 써야

지금 이 와중에 무슨 전 국민 재난지원금이야? 게시물 읽기"

본 대학 학술팀의 코로나19(Sars-CoV-2) 감염 사례 현장 연구(Frankfurter Rundschau 보도)

기사 원문: https://www.fr.de/wissen/infektionsgeschehen-im-jahr-zwei-90817976.html 요약 내용: 본(Bonn) 대학 바이러스 학자, HIV와 COVID-19 전문가인 헨드릭 슈트렉(Hendrik Streeck) 교수가 이끄는 연구 팀은 독일 최초의 코로나 급증 지대(Hotspot)인 하인스베르크 강엘트 지역에서 카니발 모임과 그 이후 시기에 사람들이 연속적으로 감염된 사례를 1년 넘게 연구해 왔다. 그리고 인근에 있는 도시 라인바흐와 인구학적 사회생태학적 비교를 통해 감염 사례의 진행 양상, 그리고 주민들의

본 대학 학술팀의 코로나19(Sars-CoV-2) 감염 사례 현장 연구(Frankfurter Rundschau 보도) 게시물 읽기"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