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이 이른바 대국민 담화에서 “이번 계엄 선포와 관련하여 법적 정치적 책임을 회피하지 않겠다.”라고 말했다. 이는 곧 ‘탄핵을 할 테면 해보라’는 메시지이다. 비상계엄 선포로 불편과 불안을 끼친 점은 사과하지만, 계엄 선포와 그에 이은 여러 과정에 대한 잘잘못은 법적으로 따져보고 정치적으로도 할 말이 있다는 것, 하지만 지금은 자제하겠다는 것이다.
나는 12월 7일 탄핵 표결은 국회에서 가결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왜냐하면 한동훈 대표가 대국민 담화 발표 즉시 기자들 앞에서 즉각적이고 주저함 없이, 윤석열의 ‘대통령 직무집행은 더 이상 불가능하고, 조기 퇴진이 불가피하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최소한 15명 이상은 탄핵 찬성표를 확실히 끌어낼 상황이 아니라면 한동훈이 기자들 앞에서 계속 이런 발언을 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한동훈은 정치 경험이 없는 검사 출신 여당 대표이긴 하지만, 그래도 윤석열을 잘 안다고 하는 한때 동료로서, 그리고 박근혜 탄핵 이후 지난 8년여 동안 자신의 겪었던 나라 안팎의 사정을 총체적으로 감안할 때, 자신의 정치적 운명을 걸 수밖에 없는 상황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윤석열이 담화에서 ‘우리 당’이라는 표현을 두 번에 걸쳐 썼다. 이 ‘우리 당’에 한동훈 중심 탄핵 찬성파는 해당하지 않을 것이다. 탄핵 가결 이후 한동훈 중심의 보수 개혁파들, 그리고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야당들이 위기 수습책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윤석열 옹호파들을 퇴출시키라는 명령이 국민적 요구로 부상했다. 한국 민주주의 제도를 일거에 뒤엎으려는 무모한 내란 쿠데타 범죄를 저지른 윤석열에 대한 수사와 대통령직 사퇴를 계속 압박하면서 향후 정치 일정을 써 나가야 하지 않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