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의 화법이나 주장은 당선되고 나서도 근거가 모호하고 일방적인 직관에 의존한다. 선거운동하면서도 여러 주장들의 근거는 제대로 밝히지 않는 게 많았고, 뭔가 비밀스럽다는 느낌을 자주 줬다. 안철수 사퇴 단일화도 그렇잖았는가.
당선 이후 윤석열의 여가부 폐지에 대한 입장은 여전히 뚜렷한 근거 없다. 그냥 이거다. “여성가족부가 이제는 좀 폐지될 때가 되었습니다. 왜냐고요? 그건 좀 지켜봐 주시죠.” 뭐, 이런 식이다.
尹당선인 “여가부, 소명 다하지 않았나…효율적 조직 구상해야”
(서울=연합뉴스) 이유미 이은정 기자 =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13일 여성가족부 폐지 공약과 관련해 “이제는 좀 부처의 역사적 소명을 다하지 않았느냐”며 공약을 지키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 역사적 소명이 뭔데? 어떻게 다했는데?
윤 당선인은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인수위 주요 구성안을 발표한 뒤 질의응답에서 ‘여가부 폐지와 관련한 정치권의 이견이나 반발을 어떻게 돌파할 것이냐”는 질문을 받고 이같이 답했다.
여가부 폐지 입장을 재확인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면서 “불공정, 인권침해, 권리 구제 등을 더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더 효과적인 정부 조직을 구상해야 하는 것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윤 당선인은 “저는 원칙을 세워놨다”며 “여성·남성이라고 하는 집합에 대한 대등한 대우라는 방식으로는 여성이나 남성이 구체적 상황에서 겪는 범죄 내지 불공정 문제를 해결하기가 지금은 어렵다”고 말했다.
–> 부정 어법 “~~해결하기가 어렵다”라는 식으로 말할 게 아니라, 어떤 원칙을 세워놨는지 밝혀라. 그리고 페이스북 한 줄로 던졌던 여성가족부 폐지라는 문구에 얽매일 게 아니라 왜 폐지라는 방식이 필요한지 설득력있게 해명해봐라.
이어 “과거에는 남녀의 집합적 차별이 심해서 아마 김대중 대통령 시절에 이것(여가부)을 만들어서 많은 역할을 했는데 지금부터는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불공정 사례나 범죄적 사안에 대해 더 확실하게 대응하는 게 맞다”고 언급했다.
–> 뭐가 이리 막연해. 집합적 차별, 개별적 사례, 확실히 대응.
인사 원칙과 관련해 ‘지역·여성 할당’을 배제할지에 대해선 “국민을 제대로 모시려면 각 분야 최고 경륜과 실력 있는 사람으로 모셔야지, 자리 나눠먹기식으로 해서는 국민 통합이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 자리 나눠먹기? 최고 경륜과 실력 있는 사람이 왠지 남자, 스펙 좋은 사람들을 뜻하는 것처럼 들린다 어째.
또 “국민통합은 실력 있는 사람을 뽑아 국민들을 제대로 모시고 지역 발전 기회를 공정하게 부여하는 것을 우선 원칙으로 하면서 여러 고려할 부분을 고려해야지, 그것(여성·지역 할당)을 우선으로 하는 국민통합은 국가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청년이나 미래 세대가 볼 때 정부에 대해 실망할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 여성, 지방 출신 할당하면 청년이나 미래 세대가 왜 정부에 실망하는데? 청년이나 미래 세대가 정부에 대해 뭘 기대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