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패스 강요는 반발만 사고 심리적 압박감 속에 정부 정책을 불신하게 만든다. 준비 없이 백신 접종률에만 빠져 방역을 풀어버린 후로 정부의 코로나 대책에 대한 신뢰도의 절반은 날아갔다.
학부모, 학원 관계자들, 학원총연합회,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의 비판: 정부 “학생 백신접종 기말고사 이후 가능”…학부모 반발 계속 (연합뉴스)
방역패스 확대 첫날 학원 등 곳곳 혼선…미접종자 불만 목소리도 (연합뉴스)
‘위드 코로나’ 이후 한국만…‘치명률 역주행’ (한겨레)
심상정, 안철수 후보: 확진자 1만 명 이상, 중증 환자 2천 명 이상 치료 가능한 병상과 의료진 확충, 소상공인에 대한 실질적 손실보상이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 (연합뉴스)
병원조차 못 가고 죽는다…의료 마비 현실화 (채널 A)
지금 4천~5천 명씩 2주만 지속되도 한국 의료체계는 감당 못함이 증명되고 있다. 몇 만 명, 몇십 만 명씩 사망자가 발생한 유럽과 미국을 따라갈 때가 아니다. 중증환자 병상을 확보하기 위해서라도, 지자체와 정부의 임시병상과 의료 인력 증원이 절박하다. 각당 대선 후보들도 정부에 신속한 병상 확보 조치를 긴박한 목소리로 촉구해야 한다. 나중에 정말 후회할 일이 벌어질 게 뻔하다.
1. 50대 이상 무증상, 모든 연령의 경증: 임시 병상 입원
2. 50대 미만 무증상자: 원하는 경우에만 재택 관찰과 치료. 아니면 생활치료센터
3. 모든 연령의 중증 이상: 일반 병원 병상에서 집중 치료
이렇게 안 하면 연말연시에 치료 시기 놓쳐서 사망하는 사람 급증한다는 것은 전문가 아닌 일반인들도 이제는 알 수 있다.
백신에 대한 심리적 압박 속에 억지로 맞았다가 부작용 사례가 늘면, 개인과 가족, 의료체계에 또다른 부담이 늘고 비판과 반대 여론이 지금보다 더더욱 치솟으며 신뢰는 붕괴될 것.
정부와 지자체는 백신 패스 정책과 재택 치료 전면화를 중단하고 병상 확보에 온 힘을 기울여라! 그렇지 않으면 정부의 의무 방기로 간주하겠다. 텔레비전에 나와서 부스터샷, 백신 접종만 선전하는 의사들도 정부에 병상 대책을 센 목소리로 촉구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