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군주론』을 읽고-운과 맞서 싸우는 인간

군주가 공화국을 다스리는 원칙에 대해 마키아벨리가 정리한 내용을 읽다 보면 정치인은 일종의 배우 같은 삶을 살아야 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갖게 된다. 왜 그럴까 따져보면, 소박한 삶을 허락받지 못하는 운명을 타고 났을 뿐 아니라, 타인의 안전과 번영을 위해 매우 부지런해야 하기 때문이다. 결코 자신만을 위해, 자기의 욕구만을 채우기 위해 살 수는 없으며, 군주의 목숨은 타인에게 달려 […]

『군주론』을 읽고-운과 맞서 싸우는 인간 게시물 읽기"

기억에 남는 영화의 장면들

좋은 영화가 무엇인지는 아직 생각을 진지하게 해본 적이 없어서 뭐라고 말하긴 어렵다. 하지만 보고 나서 기억에 남는 이미지가 뭔가 강렬한 영화를 나는 좋아하는 것 같다. 영화의 고전작들을 자료로 모아 상영하는 전문영화관을 시네마테크라고 하는데, 옛 허리우드 극장의 영화관 한 칸을 차지하고 있는 한국시네마테크협의회가 러시아 모스필름과 공동 주최로 지난 4월 4~26일까지 ‘러시아 모스필름 회고전’을 열었다. 우연히 인터넷을

기억에 남는 영화의 장면들 게시물 읽기"

『오시마 나기사의 세계』(사토 타다오 외)

■ 오시마 나기사의 영화관 영화 <감각의 제국>, <교사형>, 그 밖의 매체를 통해 오시마 나기사 감독의 영화관을 엿보고 큰 관심을 갖게 되었는데 마침 이 책을 구해 읽을 수 있어 만족스러웠다. 오시마는 23살 나이에 영화사 쇼치쿠에 들어가 5년 만에 <사랑과 희망의 거리>로 데뷔한 다음, <일본의 밤과 안개>, <백주의 살인마>, <교사형>, <소년> 등 좌절과 억압에 희생된 이들의 범죄의식을

『오시마 나기사의 세계』(사토 타다오 외) 게시물 읽기"

볼테르, 『관용론Traité Sur La Tolérance』을 읽고

주어진 본성에 따라 사람답게 산다는 것은 말은 간단하지만, 시대가 변하고 사회와 문화가 저마다 차이를 갖기 때문에 그 내용은 간단하지 않다. 고대와 중세, 그리고 근대 이후의 인간관이 분명 달라지고, 서구와 동구, 문명사회와 비문명사회, 특정 종교와 가치관의 차이에 따라 독특한 삶의 가치와 형태들이 있다. 그러나 이 모든 차이를 넘어서는 인간의 공통된 윤리적 요청이 있다면, 그 가장 체계화되고

볼테르, 『관용론Traité Sur La Tolérance』을 읽고 게시물 읽기"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