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xts

고전 읽고 질문하기

[옥중수고] 2권, <1장 역사와 문화의 문제>, 1절 지식인

1. 지식인 – 새로운 지식인 층을 창출하는 문제: 지적 활동과 근육·신경운동의 관계를 새로운 평형으로 변화시키며, 물리적·사회적 체계를 혁신하는 실천적 활동으로서 근육·신경운동 자체가 세계에 대한 새롭고도 총체적인 구상의 바탕이 되도록 보증하는 데 있다. – 근대 세계에서는 산업노동과 밀접하게 연관된 기술 교육이 새로운 유형의 지식인을 창출하는 토대를 형성해야 한다. – 《오르디네 누오보(Ordine Nuove)》는 새로운 지성주의를 발전시키고 그것의 […]

[옥중수고] 2권, <1장 역사와 문화의 문제>, 1절 지식인 게시물 읽기"

[옥중수고] 1권(정치편): 최종 되짚어 보기

– 그람시가 <옥중수고>에서 사용한 실천철학(filosofia della praxis; philosophy of praxis)이라는 용어는 마르크스주의를 뜻한다. 이 용어를 처음 도입한 사람은 라브리올라이다. 그는 마르크스주의의 진수를 이론과 실천의 독특한 연관에서 찾았다. 그람시가 이러한 ‘실천철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데는 옥중 검열을 통과하려는 의도 역시 포함되어 있다. – 베네데토 크로체는 라브리올라의 제자로서 파시스트 등장 이전 시기에 젊은 좌익 지식인에게 큰 영향력을 미쳤으나

[옥중수고] 1권(정치편): 최종 되짚어 보기 게시물 읽기"

[옥중수고] 1권, <제3장 미국주의와 포드주의>

발췌한 부분들> – 마르크스는 «자본론» 3권에서, 자본주의적 축적의 장기적 경향은 착취율이 상승하더라도 이윤율은 하락할 정도까지 자본의 유기적 구성을 상승시킬 것이라고 주장. 따라서 이 경향을 극복하자면 착취율을 대단히 상승시켜야 하는데, 그람시가 보기에도 그러한 노력이 ‘포드주의적’인 노동의 강화와 합리화 정책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 미국주의를 위한 예비 조건은 ‘합리적인 인구학적 구성’, 곧 생산 세계에서 어떠한 긴요한 기능도

[옥중수고] 1권, 게시물 읽기"

[옥중수고] 1권, <제2장 국가와 시민사회>

발췌한 문제들> – 정당의 발전을 분석할 때에는 정당에 소속된 사회집단, 정당의 대중적 당원, 정당의 관료와 참모부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그중 관료제는 가장 위험한, 소심하고도 보수적인 세력이다. 만약 관료제가 스스로 꽉 짜인 기구로 성립하여 혼자 힘으로 서고 스스로를 당원 대중으로부터 독립된 것으로서 느낀다면, 그 당은 시대착오적일 것이며 첨예한 위기의 순간이 닥칠 때 사회적 내용을 상실한 채

[옥중수고] 1권, 게시물 읽기"

[옥중수고] 1권, <제1장 현대의 군주>

발췌한 문제들> 1. 마키아벨리, 이탈리아, 자코뱅주의 – 그람시는 마키아벨리가 말한 군주는 현대에는 정치정당이라고 보았다. 그는 새로운 국가 또는 새로운 국민적·사회적 구조의 건설이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의 중심 문제라고 파악했다. 혁명적 생디칼리즘의 이론가이자 «폭력론»(1906)의 저자인 조르주 소렐에게 최고 형태는 총파업이었으나, 이는 적극적·건설적인 국면을 제시하지 못하며 실천 속에서의 건설과 긍정, 곧 정치적인 당 강령으로서의 건설과는 거리가 있는 파괴와 부정에

[옥중수고] 1권, 게시물 읽기"

위로 스크롤